"수도직하지진"은 정부의 지진조사위원회가 향후 30년 안에 70%의 확률로 일어난다고 예측하는 규모 7정도의 대지진입니다.
과거에도 "수도직하지진"은 다수 발생하였으며, 가장 유명한 수도직하지진으로는「관동대지진」이 있습니다.
도쿄와 카나가와 등 수도권에서 진도 7의 격한 흔들림이 상정되고 있습니다.
과거에 일어난 수도 직하 지진들
겨울 저녁, 바람이 강한 경우가 최악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소실건물 61만채이며 이중 약 41만채가 화재로 소실됩니다. 최악의 경우, 수도권에서는 동시에 2000건의 화재가 발생할 것으로 상정됩니다. 이런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소방차의 수는 굉장히 부족하게 됩니다. 그에 더해 교통정체로 빨리 도달하지 못하거나 수도관이 파열되어 소화전을 못쓰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습니다. 특히 네리마구, 스기나미구, 나카노구, 오타구, 에도가와구, 가쓰시카구, 아다치구는 목조주택이 조밀되어있고 노후화된 주택이 많아 화재피해가 가장 심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게다가 고온의 불꽃이 토네이도처럼 소용돌이 치는 '화재돌풍'이 발생해 피해를 확대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사망자도 무려 2만 3000명으로 예상되며 이중 70%인 1만 6000명은 불에 의해 사망합니다. 부상자는 12만 3000명, 구조가 필요한 사람은 5만 8000명, 피난민은 720만명에 이른다고 예상됩니다. 전기와 상하수도등 라이프라인의 복구가 언제될지 모르며, 철도도 약 1개월간 운행을 정지하며 교통정체는 극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피해는 지진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건물의 붕괴, 가구의 전도 등) 42조엔(약 420조 원), 기업의 생산이나 서비스가 저하하는 등의 간접적인 피해는 48조엔(약 480조원)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1년 일본 예산에 버금가는 수준입니다. 이런 피해로 인하여 전세계적으로도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 추정됩니다.
내각부 보고서의 상정내용: 겨울 저녁, 풍속 8m, 규모 7.3의 지진이 도심 남부 직하에서 발생
▼진도 6강 이상의 흔들림으로 약 17만 5000동이 전파.
▼액상화에 의한 전파는 2만 2000동. 도쿄 만 근처와 강 근처에서 다수 피해 발생.
▼붕괴로 인해 1만 1000명 사망. 7만 2000명이 구조를 기다림.
▼진도 6약 이상의 흔들림을 감지한 화력발전소가 운행 정지. 간토 지역 외부에서 전기를 가져와도 공급이 50% 감소.
▼도쿄에서 50%가 단수. 근처 3개 현에서는 30~50%가 단수.
▼전화 사용불가. 휴대전화는 음성통화 불가. 메세지 매우 많이 지연.
▼도쿄와 3개 현에서 가스 최대 30% 공급 정지.
▼진도 6강을 관측한 지역에서 폭 5.5m 미만의 일반도로의 50%이상이 통행 불가. 2차선 도로는 통행이 어려운 곳이 다수 발생.
▼국도 4호,17호, 20호, 246호 등에서 자동차 통행 규제. 이외의 구간에서는 시속 5km미만의 정체 예상
▼고속도로 도쿄내 480개소, 3현에서 620군데에서 경미한 피해 발생. 점검으로 인해 규제.
▼수도권 철도 전선 불통. 진도 6약 이상인 곳에서 500m 간격의 비율로 궤도 변형 발생.
▼하네다 공항 폐쇄. 나리타 공항 폐쇄
▼도쿄도 23구 안에서 귀가 곤란자 800만명 발생. 거리에 사람이 넘쳐서 긴급수송에 차질 발생. 가족의 안부를 확인할 수 있는 171도 등록이 몰려서 용량 한계 발생.
▼엘리베이터 갇힘 사고 다발. 이런 사람들은 구출까지 적어도 반나절. 여진 등으로 인해 사망 가능성 증가.
▼터미널에는 사람이 밀려옴. 혼잡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깔림사고로 인한 사망 사고 발생.
▼무너진 집, 공장, 가게, 주유소 등 2000곳에서 동시 화재가 발생. 폭발사고와 유독물질 유출사고 발생. 목조가옥 중심지를 중심으로 화재가 확대되어 소화활동 불가능.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적어도 1만 6000명
▼피해지역 안팎에서 사재기가 발생해 몇시간 만에 마트와 편의점의 재고가 매진. 특히 음료는 턱없이 부족.
▼수도권 주유소의 일부가 붕괴하여 영업 불가. 주유소에 직접적인 피해가 없어도 정전이 되어 영업 불가.
▼의료기관에 방대한 수의 수요 발생. 건물 피해와 라이프라인의 피해 등으로 기능 저하.
▼하천관리시설은 액상화로 인하여 대부분 침하, 파괴.
▼기업의 사업 활동 정지.
▼공공기관 직원, 공무원, 국회의원이 동시에 여러 피해를 입어 국가 기능 저하.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긴급 차량은 주요 도로 파괴로 인해 절반밖에 들어오지 못함. 구조부대의 이동은 한정적.
▼필수 구조자의 상황 악화. 생존률을 높이려면 72시간 안에 구조를 해야하지만, 구조 건수가 방대하여 생존자 감소. 무너진 건물에 깔려있다가 구조된 사람도 으스러짐 증후군(장시간 압박되다가 구조되었을 때 발생하는 병의 총칭)으로 인한 사망자 발생.
▼일부 지역에서 전력 공급 재개. 그러나 수요 폭증으로 인한 화재 발생. 수도 중심 지역의 기능 회복이 우선이라서 도심을 제외하고 다른지역에는 수요 억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음.
▼정수장에서는 비상용 발전기의 연료가 떨어저 정수에 차질이 발생하여 단수 지역 확대. 대량의 가설 화장실, 맨홀 화장실이 하수도를 필요로 하지만 하수도도 일부에서 사용 불가 상태가 지속.
▼기지국의 비상용 발전기의 연료 고갈 발생. 도쿄와 3현에서 50%의 기지국이 마비.
▼발전기가 없는 의료기관 기능 정지. 의약품 부족 현상 발생.
▼고속도로와 일반도로에「재해대책기본법」에 의거한 교통 규제가 본격화. 고속도로는 점검 후 긴급 차량만 이용 가능. 다만 지반 침하등의 피해가 발생할 경우 해당 고속도로는 적어도 3개월간 이용 불가. 광역적인 정전의 영향으로 신호등이 꺼져 수신호로 차량 이동 통제.
▼대규모 화재는 계속. 소방차의 부족과 화재 확산으로 소화 불가 상태 지속.
▼철도는 진도 6약 미만의 지역에서 복구 준비가 진행되지만 불통. 진도 5강 이하의 지역에서는 점검・보수공사 후 순차적 운행 재개.
▼하네다 공항으로 긴급 물자 도착.
▼약 300만명의 이재민 발생. 피난소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에서 생활하여 재해 대책에 지장 발생. 대피공간, 식량, 물 부족.
▼전국적인 사재기 현상 발생
▼구조부대의 이동에 약간의 차질 발생
▼수도(水道)는 도내 중심 기능과 병원 등의 중요시설에 우선적 복구 진행.
▼대규모 화재는 진화 경향. 다수가 피난 장소에서 대피소로 이동.
▼필수 필요품의 공급 차질 지속.
▼화력발전소가 한정적으로 운행을 재개하지만 정전률을 50%로 변함 없음. 도심 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계획 정전 등 수요 억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상수도의 단수가 도쿄도 23구 안에서 40%. 도쿄와 근처 3개 현에서 2~40%. 하수도도 일부지역에서 이용할 수 없고 가설화장실도 부족해져 위생 상태 악화.
▼기지국이 50% 마비. 다만 이동용 무선 기지국의 배치로 인해 한정적으로 회복.
▼고속도로, 국도 등 주요도로가 긴급 수송 도로로 계획됨. 심각한 정체는 대부분 해소됐지만, 수도권 전체에서 만성적 정체 지속. 민간 기업의 활동 재개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
▼철도는 일부 노선에서 운행 정지. 재해지 밖으로 이동하고 싶은 이재민들의 다수가 이동 불가.
▼하네다 공항에서 긴급 수송 본격화. 단, 활주로의 액상화로 인하여 복구가 장기화 될 수 있음. 또한 공항까지의 접근이 끊길 수 있어서 공항 고립의 우려도. 인근 석유 저장고의 화재로 이착륙에 차질 발생.
▼정전은 도쿄와 인근 3개 현에서 여전히 50%(90%회복까지 1개월)
▼상수도 단수는 도쿄도 23구 안에서 30%. 도쿄와 인근 3개 현에서 2~30%(단수 해소 90%까지 1개월)
▼아직 기지국 50% 마비.
▼고속도로, 일반 국도의 일부 구간에서 규제 해제(일반 차량이 통행할 수 있을 때 까지 1개월)
▼신칸센 전선, 일부 지하철 운행 재개. 재래선은 여전히 불통. 버스의 대채 수송도 수요를 감당할 수 없음(1개월 후에도 복구는 60%). 신칸센이 탈선했을 경우 복구까지 2개월.
▼교통 인프라가 복구되어도, 연료가 부족하여 물자 조달과 배송에 차질.
▼피난소에 인적, 물적 자원의 제공이 늦어지면서 겨울은 독감, 여름은 열사병, 탈수 등의 건강 피해가 확대.